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지수형 투자성 연금으로 위험 줄이고 수익 증대

투자자들은 수익과 리스크 사이에서 늘 갈등한다. 이 갈등은 쉽게 해결되지 않는다. 왜냐면 양자는 일반적으로 반비례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수익을 많이 원할수록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 리스크를 원치 않으면 그만큼 수익을 양보해야 한다. 성공적인 투자 포트폴리오의 구성과 운용은 결국 가장 효율적인 리스크와 수익의 교집합을 찾으려는 시도라고도 볼 수 있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이런 시도의 산물 중 하나다. 원금의 손실을 원천적으로 막아주는 지수형 연금의 안전성과 변동성 투자자산이 줄 수 있는 수익성을 동시에 가져가 보겠다는 발상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 RILA의 작동 메커니즘과 효과적인 활용법에 대해 개괄해 본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의 안전장치   지수형 투자성 연금의 안전성은 지수형 연금의 안전성과는 다른 것이다. 지수형 연금은 시장하락에 따른 손실이 없다. 100% 원금을 보호해 준다. 그러나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시장하락에 따른 손실을 부분적으로만 막아 준다. 손실을 막아주는 방식에는 ‘버퍼(buffer)’라는 방식이 있고 ‘플로어(floor)’라는 방식도 있다.     플로어는 최대 손실폭 개념을 적용하는 방식이고, 버퍼는 일정 수준까지의 손실을 막아주는 일종의 방파제 역할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0% 플로어라고 하면 최대 손실폭이 10%까지라는 뜻이다. 시장이 30% 내려가도 내가 보는 손실은 10%가 최대치가 되는 식이다. 반면 10% 버퍼는 10% 한도 내에서는 손실을 100% 막아주고 그 이상 하락에 따른 손실은 투자자가 수용하는 방식이다. 같은 예로 시장이 30% 내려갈 경우 10% 버퍼 방식은 20% 손실이 투자자 몫이 되는 식이다.     버퍼는 10%와 20% 선이 일반적이지만 그 이상 버퍼도 있고, 때로 100% 버퍼가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버퍼에는 ‘트레이드 오프’가 있다. 버퍼 수준이 높을수록 상승장에서 볼 수 있는 잠재수익 상한선이 낮아진다. 100% 버퍼의 경우는 결과적으로 지수형 연금과 같은 것이어서 수익 포텐셜 측면에서도 특별히 나은 부분이 없다.   버퍼 방식과 플로어 방식 중 어느 것이 더 나은가 하면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위의 예에서처럼 시장이 30% 하락했다고 가정하면 플로어 방식이 낫다. 10% 플로어 방식은 10% 손실을 냈지만, 10% 버퍼 방식은 20% 손실이 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장이 10% 하락했다면 당연히 버퍼 방식이 낫다. 10% 플로어 방식은 10% 손해가 나겠지만, 10% 버퍼 방식은 손실이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지수형 투자성 연금의 안전장치는 지수형 연금에 비해선 제한적이다. 이 말은 일정 부분 시장 리스크를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하지만 투자성 연금에 비해선 훨씬 리스크를 덜 가져갈 수 있다. 투자성 연금은 시장하락에 따른 손실을 100% 경험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에 대해 필요한 정도의 부분적 보호장치를 수용하고, 지수형 연금에 비해선 더 높은 수익 포텐셜을 원하는 투자자들에게는 적절한 방법이 되는 셈이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의 수익 포텐셜   지수형 투자성 연금의 수익 포텐셜은 좋다. 버퍼나 플로어 수준에 따라 다르지만, 지수옵션을 S&P 500을 기준으로 할 때 수익 상한선이 15~20% 안팎에서 형성돼 있다. 지수형 연금의 수익 상한선이 요즘 10% 안팎인 것을 고려하면 훨씬 높은 것이다. 그 외 스몰캡이나 신흥시장 지수 등을 활용하면 잠재적 수익 상한선이 30%에 육박하고, 지수옵션에 따라 100%인 경우도 있다. 이렇게 수익 포텐셜이 높은 것은 당연히 부분적으로나마 리스크를 수용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의 수익 포텐셜은 상승장에만 국한돼 있지 않다는 점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지수옵션에는 시장이 크게 오르지도 내리지도 않는 상황일 때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식과 오를 때나 내릴 때 상관없이 수익을 낼 수 있는 방식이 있다. 이들 역시 일반적인 지수형 연금의 수익 상한선에 비해 높은 잠재적 수익률을 제공한다. 시장환경이 이상적이지 못한 환경에서도 두 자릿수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것은 분명 매력적인 부분이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과 자산운용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투자자문사들이 주로 활용한다. 전혀 리스크를 원치 않는 투자자가 아니라면 이를 통해 효과적인 자산운용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우선 10~20% 버퍼의 의미를 시장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시장의 역사를 돌아보면 5% 조정 하락은 셀 수 없이 많다. 10% 조정 하락도 평균 15개월에 한 번씩은 경험하는 것이다. 20% 이상 하락이 상대적으로 드물다. 결국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5~20% 하락은 수용할 필요가 있는 리스크 수준이라고 볼 수 있다. 손실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것은 20% 이상 하락을 피하는 것이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이 경험적으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10~20% 하락에 대한 방어막을 제공해 준다는 것은 이런 역사적 경험과 무관하지 않다. 20% 이상 하락장은 이른바 ‘베어마켓’이다. 베어마켓을 효과적으로 항해하는 일은 단지 버퍼만으로 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 부분은 능동적 자산운용의 역할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적어도 20% 이상 베어마켓이 아니라면 지수형 투자성 연금을 통해 충분히 손실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 동시에 연수익률 포텐셜 역시 15~20%를 기대할 수 있다면 전혀 나쁘지 않은 옵션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지수와 연계해 수익구조를 다변화할 수 있고, 양호하지 못한 시장환경 속에서도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옵션까지 제공하고 있다. 지수형 연금은 원금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지만, 시장환경이 개선될 때 적극적으로 그 수익 포텐셜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점이 옥에 티다. 자금 유동성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시장이 불안할 때는 안전한 옵션을 활용하다 필요할 때 언제든 공격적 투자가 가능하다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자문사들은 지수형 투자성 연금이 자금의 유동성과 함께 버퍼 및 플로어 선택, 다양한 지수옵션 활용 등을 통해 나름 능동적 자산운용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고 있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모든 이들에게 적절한 금융상품은 아니다. 그러나 시장 리스크를 어느 정도 수용할 수 있는 투자자라면 충분히 고려할 가치가 있다고 할 것이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kenchoe@allmerits.com연금 지수형 지수형 투자성 잠재적 수익률 잠재수익 상한선

2023-11-22

[지수형 투자성 연금] 손실 방어선 지정으로 리스크 최소화하라

수익 포텐셜 기회를 놓치지 않으면서 손실 리스크에 대해서도 충분히 방어할 수 있는 투자는 쉽지 않다. 안전성에 방점을 두면 수익 포텐셜을 상당 부분 포기해야 한다. 수익에 방점을 두면 손실 리스크(risk)를 피할 수 없다. 안전자산과 리스크 자산에 적절한 분산배치가 이뤄져야 하고, 이를 또 능동적으로 운용할 수 있어 한다. 하지만 말처럼 녹록지 않은 과제다.     ▶시장 등락에 대한 대비   은퇴가 가까울수록 시장하락에 따른 손실과 그 타격은 치명적일 수 있다. 좋은 시장환경과 나쁜 시장환경, 둘 다를 대비하는 계획이 꼭 필요한 이유다. 하락장에선 손실을 줄여주고 상승장에선 수익 기회를 잡아야 한다. 투자는 많은 수익을 가져다줄 수도 있지만, 그만큼 큰 손실을 가져다줄 수도 있다. 1929년 이래 시장은 스물여섯 차례 ‘베어마켓’을 경험했다. 소위 베어마켓의 평균 하락폭은 S&P500 기준 36%.     반면 상승장은 평균 114% 올랐다. 하락장의 손실보다 상승장의 수익이 훨씬 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장기적인 주식투자는 자산을 불릴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임에 분명하다.     그러나 이런 경험치만으로 ‘묻지마 투자’를 주장할 수는 없다. 현실 속에선 손실 회복을 기다릴 여유가 없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이다.     시장환경이 어려워지면 다 팔고 나가고 싶을 때가 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장기적인 투자목표에 도달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손실에 대한 보호장치가 필요한 이유다. 그래야 끈기있게 투자를 지속할 수 있다.   ▶S&P500 지수의 역사적 경험   지난 1971년 1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매달 시작점을 달리해 6년 주기의 성적을 보면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기간 포함된 6년 주기는 총 529회. 이들 6년 주기의 평균 수익률은 68%를 기록했다. 이중 수익이 난 주기는 465회로 전체의 88%였고 손실이 났던 6년 주기는 64차례 있었다.    수익이 났던 6년 주기 중 1~100% 사이의 수익률을 기록한 적은 323회, 100~150% 사이의 수익을 기록한 주기는 101회, 150~200% 수익이 난 주기는 29회, 200% 이상 수익을 낸 주기도 12차례 있었다.     반대로 손실이 났던 6년 주기 중 20% 이상 손실이 난 적은 단 한 차례도 없었다. 15~20% 손실이 났었던 6년 주기는 6회, 10~15% 손실이 났던 주기는 16회, 1~10% 사이 손실을 기록했던 주기는 42회였다. 결국 6년 이상 투자해서 누적 20% 이상 손실이 났던 적은 없었고 반면 누적 100% 이상 수익이 난 적은 많았다는 뜻이다.   여기서 배울 수 있는 것은 한 가지다. 시장이 어렵다고 ‘마켓 타이밍’을 하면 손실만 떠안고 수익에는 참여하지 못할 수 있지만, 꾸준히 6년 이상 투자하면 수익이 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점이다.     물론, 과거의 경험이 미래의 결과를 보장하지 못한다. 그런데 여기서 20% 미만의 누적 손실분마저 방어할 수 있다면 금상첨화일 것이다.   ▶방법이 있다   시중에는 지수형 투자성 연금(IVA)라는 것이 있다. 리스크 관리를 위해 많이 활용되는 연금은 지수형 연금이다. 지수형 연금은 시장하락에 따른 손실이 전혀 없다.     대신 수익참여 지분에 상한선이 있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기존의 지수형 연금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우선 손실 리스크 관리방식이 다르다. 지수형 연금은 아예 손실이 없지만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방어하는 손실폭을 선택할 수 있다. 옵션에 따라 대게 10~30%까지 손실을 방어해준다. 예를 들어 방어선을 20%로 선택하면 시장이 20%까지 하락해도 손실이 없다.     하지만 20% 이상 떨어지면 추가 하락폭에 대해서는 투자자가 손실을 부담하는 식이다. 방어선은 1년마다 정하는 옵션이 있고 최고 6년 주기에 대해 정하는 옵션도 있다.     지수형 투자성 연금이 지수형 연금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또 한 가지는 수익참여 지분이다. 방어선을 어느 수준으로 택하는가에 따라 수익참여 지분이 달라진다. 방어선을 많이 가져갈수록 수익참여 지분이 낮아진다. 반대로 방어선을 낮게 가져가면 수익참여 지분이 높아진다. 예를 들어 1년 주기 옵션의 경우 손실 방어선을 10%로 가져가면 수익참여 지분 상한선이 20% 정도이고, 손실 방어선을 30%로 가져가면 수익 상한선이 13% 정도 되는 식이다. 지수형 연금처럼 손실 리스크를 완전히 막아주는 것은 아니지만 30%까지 막아주고 13%까지 수익을 가져갈 수 있다면 나쁜 거래는 아니라고 볼 수 있다.   ▶탄력적 자산운용 가능   결국 지수형 투자성 연금은 완전한 손실 리스크 제거는 아니지만, 상당 부분 손실에 대한 방어기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낮은 어느 정도의 리스크를 수용할 수 있다면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방법이다.     다양한 주기의 지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지만, 원할 경우 언제든지 더 공격적 투자 옵션으로 자금을 재배치할 수 있는 탄력성도 있다. 비용도 없거나 전반적으로 매우 낮다.     또 연금이지만 계약해지에 따른 수수료도 전혀 없다. 유동성이 100% 보장된다는 뜻이다. 유동성이 중요한 투자 결정 요인 중 하나라면 상당히 매력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켄 최 아메리츠 에셋 대표 kenchoe@allmerits.com지수형 투자성 연금 연금 최소화 손실 방어선 손실 리스크 지수형 투자성

2023-04-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